'자원의 희소성'이라니 그게 무엇일까?
인간은 경제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욕구를 해소하고 싶어한다. 갖고 싶은 물건이나 서비스를 받으려고 하는데 돈은 충분하지만 재화와 용역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그것을 자원의 희소성이라고 표현한다.
희소성이란?
인간의 끝없는 욕구에 비해 자원이 제한되어 있거나 부족한 상태를 말한다.
ex. 후추 > 금
중세 유럽 때 후추가 금보다 비싸고 귀한 물건이였던 경우를 볼 수 있다. 유럽을 기준으로 봤을때 후추는 재배가 불가능한 향신료이다. 그렇기에 후추의 자원이 제한되어 있어 희소성을 띄고 있다고 볼 수 있다.
ex. 명품
현대의 기준에서 명품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에르메스 버킨백은 돈이 있어도 재고가 적고, 상품이 있어도 바로 구매가 가능한게 아니라 예약을 걸어야 하는 등 여러 과정을 통해 구매가 가능하다. 그래서 누구나 쉽게 구매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희소성을 띈다.
희귀성이란?
자원의 절대적인 숫자가 부족한 상황을 말한다.
ex. 피처폰
요즘에는 다들 스마트 폰을 쓰지만 피처폰을 쓰는 사람의 거의 없다. 옛날 핸드폰을 원하는 사람이 매우 적을 뿐더러 재 생산이 불가능한 단종 제품이 많기 때문에 구하기가 매우 어렵다.
ex. 한정판
한정판 제품을 생각하면 된다. 일정 수량만 생산하기 때문에 희귀성이 생긴다.
희소성, 희귀성을 전부 갖춘 경우는?
유명 화가의 진품과 같이 세상에 단 하나뿐인 존재가 희소성, 희귀성을 전부 갖췄다고 볼 수 있다.
희소성, 희귀성의 차이는?
정답은 재 생산 여부이다. 희소성은 생산량이 적지만 지속적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 하지만 희귀성은 더이상 생산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공급이 불가능하다.
마무리
경제학 공부는 희소성으로 부터 시작한다. 자원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선택을 통해 나의 만족을 채워주는지 따져보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내가 만족감을 얻기 위해 재화를 돈을 주고 구매하는 것은 무엇일까? 이것은 경제재라고 부른다. 다음 포스팅은 경제재와 자유재에 대해 설명하겠다.
'초보를 위한 경제 꿀팁 > 경제·금융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몰 비용의 뜻과 예시 (0) | 2023.04.01 |
---|---|
기회 비용의 뜻과 계산 방법 (0) | 2023.03.23 |
경제재, 자유재의 의미와 차이 (0) | 2023.03.22 |
경제 활동의 의미와 종류 (0) | 2023.03.20 |
경제의 뜻과 의미, 어원 (0) | 2023.03.19 |